dd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미지 만든 후 마운트하는 방법! 


#dd if=/dev/sda of=image.backup ;sync

dd로 sda전체를 이미지로 만든다. 

(메모리에 남아있는 파일들까지 복사하기 위하여 항상 sync를 하여 깨끗이 모두 복사 한다. )

#mount -o loop,offset=1048576 -t ext3 image.backup /mnt/image

dd로만든 이미지를 /mnt/image에 마운트 한다. 이미지를 마운트 할때에는

loop를 이용하고, offset값을 지정해줘야 오류없이 마운트할 수 있다.

offset값을 안넣고 마운트 할시 FileSystem을 인식하지못하여 계속 오류가 나는데.. 이때 offset값으로 시작지점?(파일시스템을 인식할 수 있는지점)을 정해주면 된다. 

*offset값 구하는 법: 

#fdisk -l image2.backup(이미지명) 

이미지 용량 확인 

512byte * Start sector = offset 값 (512 * 2048 = 1048576)

만든 이미지의 파티션이 3개있고 3번째 이미지만 마운트 하고 싶을때에는 원하는 파티션의 start sector를 이용하면 된다. 

mount -o loop,offset=1592690688 -t ext3 cf.img /mnt/image

offset = 311724(image.backup3 start sector) * 512 = 1592690688

마운트 후 

cd /mnt/image 로 가서 파일 확인하면 끝!!


*마운트 오류 메시지 :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dev/loop0,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 try

dmesg | tail  or so


*sda1만 이미지 만든후 마운트하는 법 (조금더 간단)

#dd if=/dev/sda1 of=backup.img ;sync

#mount -o loop backup.img /mnt/image

#cd /mnt/image

#umount /mnt/image 


인터넷에 많이 나와있지만 확실하게 offset값을 어떻게 구해야하는지 자세히 안나와있고

계속 경고만 뜨길래 하루? 정도 고생하였다. 인터넷에 있는 모든 방법을 하였지만 안돼서 머리가 아파 죽는지알았다.... ㅠㅠ

이제 저처럼 삽질하는 분이 더이상 없길 ^.~ 





Posted by 도레미님
,

리눅스마스터 2급 1차는 누구나 합격할수있다..

인터넷만 잘 찾으면 족보?가 있기때문에 공부안하고 Ctrl+F로 쉽게 찾아서 합격할수있을것이다.

이제 2차가 문제다.

나는 2차를... 3번째에 합격했다... 멍충하게ㅋㅋㅋ

2차시험도 어렵지는않다. 떨어진 이유는 햇갈리기도하고.. 공부를 안했기때문!

하지만 공부를 조금만이라도 조금이라도 더 했으면 바로 합격할수있다.

먼저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것이 중요하다.

기출문제는 인터넷이나 리눅스마스터 홈페이지에 가면 쉽게 다운받을 수 있으니

꼭 많은 문제를 풀어보기바란다. 문제를 여러번풀다보면 비슷한것도 많이 나오기때문에 유형을 금방 익힐수있다. 나 또한 기출문제만 풀고서 합격하였다.

기출문제를 한.. 4번? 5번? 이상 풀었던것같다. 풀고 복습하고 복습하고.

아 그리고 인터넷에 요약집?같이 정리해놓은것이 있다. 그것도 틈틈히 보면서 공부하였다.

찾으면 같이 업로드 해놓겠다!! 

이제 나는 리눅스마스터 1급을 준비할것이다. 리눅스의 매력에 빠졌다. ㅎ.ㅎ

이제 1급 합격하고 합격후기써야지! ㅋㅋ  

Posted by 도레미님
,
원격 로그 모니터링 설정 방법


리눅스에서는 원격에서 로그모니터링을 할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rsyslog.conf 파일을 수정해서 원격에서 필요한 로그만 볼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그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피피티에 정리했던거를 옮기느라 글로 정리하진 못하소 빠르게 캡쳐로 올리겠습니다 ^^; 


1. 설정 파일 : /etc/rsyslog.conf 수정
#vi /etc/rsyslog.conf  

2. 파일에서 $ModKoad imudp.so, $UDPServerRun 514 부분 #주석 해제

3. 파일에서 *.info;mail.none;authpriv.none;cron.none @x.x.x.x:514

   부분 syslog를 수신할 IP주소 작성  

4. PC SYSLOG 프로그램을 통해 로그 확인 (Kiwi_Syslogd_8.3.4 )설치 방법 

 1) http://www.kiwisyslog.com/ 접속 후 다운로드

5.  Kiwi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니터와 같은 로그를 확인하고 저장 할 수 있음


rsyslogd 필터링 방법!





'리눅스 > 리눅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dd이미지 마운트 방법  (0) 2014.11.13
Posted by 도레미님
,